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의상 고전"(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길 위의 인문학 (희의 상실, 고전과 낭만의 상처)

길 위의 인문학 (희의 상실, 고전과 낭만의 상처)

최재목  | 지식과교양
13,500원  | 20180120  | 9788967641108
“글을 쓴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즐거운 일이다. 글이 나를 자유롭게 하기 때문이다.” 저자의 말에 고통과 즐거움이 동시에 느껴진다. 이 책은 철학자이자 시인인 최재목 교수가 최근 10여 년 간, 길 위에서 사색해 오며 써온 글들을 엮은 것이다. 최재목은 머리말에서 “그 동안 내가 해왔던 길 위의 방황과 유랑, 안착하지 못한 한 인간으로서의 실존적 고독과 번뇌, 사람 사이에 살아가는 힘든 순간순간, 나는 이것들을 외부적 투쟁이 아니라 솔직히 내적인 글쓰기로 뚫고 나가려고 했었다. 가능한 한 남들과 소통하는 투명한 언어로 나즉히 나를 빨래 줄에 내걸 듯 보여주려 했다.”고 밝힌다. 많은 다양한 글들을 [1. 걷기, 멍 때림; 2. 필로소피아에서 철학으로; 3. 유럽이 지은 ‘인문의 숨결’; 4. ‘고전’과 ‘개성’의 사이에서; 5. 위로의 인문학; 6. 문학, 예술의 허허 벌판에 서서]처럼 여섯 파트로 나누었다. 최재목이라는 한 인간의 고민이 유사한 ‘문법 내’에서 대화하고 있다. 동양철학, 비교동아시아사상사, 시 작업, 예술비평 등을 통해서 저자는 가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의아해 하며, 헷갈리는 지점에 서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즐거운 도전이고 시련이었다. 탈경계, 무경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저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느슨하게·탄력적으로 지키면서 다양한 장르들과 끊임없는 대화를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내면을 넘어서는 ‘내월’(內越), 그리고 타자와 수많은 장르를 넘어서는 ‘간월’(間越), 서로 함께 껴안고 기어서 함께 넘어서는 ‘포월·공월’(抱越·共越)의 작업을 거쳐야만 한다”고! 이 책은, ‘길 위’ 사색과 고뇌를 담은 ‘인문학’이 주제이다. 하지만, 부제로 붙였듯이, 철학이 상실한 끊임없는 ‘희구(希)’의 정신을 얼마라도 살려보려고 하였다. 아울러 고전주의 딱딱하고 경직된 형식적, 꼰대적인 ‘본’ 지향과 낭만주의 ‘개성·자유·생명’ 지향을 대비적으로 보여주면서 궁극적으로는 낭만주의의 길을 걸어보고 싶었다고 한다. 고전주의는 원본·원초로 돌아갈 수 없는 상실감·그리움에서 생겨났으며, 그 이후는 낭만주의로 대체됐지만 우리 학문에서는 그것이 뒤죽박죽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저자는 ‘걷기, 나를 찾아 가는 가장 순수한 몸짓’ 중에서 말한다. “대지와 하나 되는 것, 맨발은 그것을 가르친다. 걷기는 삶의 가장 순수한 몸짓을 풀어내고 거두어들인다. 순전히 두 발로, 그것도 맨발로, 홀로 일어서는 직립의 힘이다.” 최재목 인문학의 지향점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바로 ‘직립의 힘’이다. [문학, 예술의 허허 벌판에 서서]에서는 저자 자신의 자유로운 비평 정신을 보여주면서, 실제적으로 그가 ‘길 위의 인문학’을 어디로 끌고 가고자 했던가의 실례를 적절히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눈여겨 볼만한 것은 [위로의 인문학] 부분에서 등장시킨, 요절한 가수 ‘배호’이야기였다. 아니 철학하는 사람이 무슨 배호를? 이유가 있다. 저자는 배호를 호출해서 우리의 현대사에 엄연히 존재한 상처를 밝히면서 ‘위로의 인문학’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인문학로서 지금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가를 다시 짚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저자는 말한다. “한 마디로 배호 노래는 나에게 애절한 ‘그늘’이었다. 빛이 있으면 반드시 그늘이 있듯, 드러나는 삶에 따라붙는 어두운 구석이었다. 그것은 필시 우리 사회의 그늘이기도 했으리라. 몸이 아프면 신음(呻吟)이 있듯, 사회가 아프면 소리가 있는 법. 소리는 ‘세상의 음악’(世音)이고, 시(詩)이다.” 그래서 이것을 ‘절망=희망’ 레이아웃하기로 이끌어 간다. 그에게 절망은 바로 희망을 이야기 하는 근거였다. 여하튼 독특한 인문학의 가능성을 만나게 하는, 최재목이라는 한 인간의 여태까지의 고뇌와 참신한 모색이 담긴 에세이집이다.
수상신쥬광복지연의 (상) (번역 고소설)

수상신쥬광복지연의 (상) (번역 고소설)

박재연  | 학고방
71,250원  | 20070830  | 9788960710375
한글 생활사 자료총서 번역 고소설 '수상신쥬광복지연의' 교주본이다. 국내에 유입되어 번역자와 필사자의 손길을 거치며 향유된 조선시대 번역소설 '수상신쥬광복지연의'를 소개한다. 한글 필사본 원문을 그대로 수록하되 띄어쓰기는 현행 표기에 맞추었다. 자주 출현하는 인명이나 지명은 중국어 원문과 대조하여 각 회 맨 처음에 한하여 괄호 안에 한자를 병기하고 맨 뒤에는 중국 원문을 영인해 수록하였다.
신역 주역전의 상

신역 주역전의 상

성백효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33,300원  | 20230127  | 9788997970759
동양철학의 오묘한 진리를 풀이한, 경전의 으뜸 《주역(周易)》 《주역》은 《시경》ㆍ《서경》과 함께 삼경(三經)으로 알려져 유가 경전(儒家經典)의 대표로 꼽혀왔다. 천지 자연의 생성원리와 무궁무진한 변화에 따른 인간의 생로병사와 길흉화복에 잘 대처하게 한 책이 바로 이 《주역》이다. 《주역》은 역경(易經), 또는 역(易)이라 약칭하는바, 동양철학의 오묘한 진리를 풀이한 책으로 경전(經典)의 으뜸이라 할 것이다. 팔괘(八卦)를 근본으로 하여 이루어진 64괘(卦)를 다시 상경(上經)과 하경(下經)으로 나누고, 여기에 십익(十翼) 즉 〈단전〉 상ㆍ하. 〈상전〉 상ㆍ하, 〈계사전〉 상ㆍ하, 〈문언전(文言傳)〉,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을 합하여 하나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역(易)의 작자(作者)에 대해서는 여러 이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복희씨(伏羲氏)가 처음 팔괘와 64괘를 그렸으며, 주(周)나라 문왕(文王)이 이것을 연역하여 괘사(卦辭)를 짓고 주공(周公)이 효사(爻辭)를 짓고 공자(孔子)가 십익(十翼)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처럼 주나라 때에 만들어졌다 하여 《주역》이라 칭한다. 《주역전의》란 명칭은 명(明)나라 성조(成祖)의 영락(永樂) 년간에 《대전본(大全本)》을 만들면서 금역(今易)의 체제를 따른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과 고역(古易)의 체제를 따른 주자(朱子)의 《본의(本義)》를 합본(合本)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서(本書)는 《주역전의》 24권과 총목(總目), 곧 역본의도(易本義圖), 역설강령(易說綱領), 상하편의(上下篇義), 오찬(五贊), 서의(筮儀)를 현토(懸吐)하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역(易)은 천도(天道)를 미루어 인사(人事)에 미치되 매우 광범위하여 구비하지 않은 것이 없다.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선악(善惡)에 연관시킴으로써 사람이 처한 위치에 따라 행하여야 할 참다운 도리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주역》은 수양(修養)의 책이고 경륜(經綸)의 책이고 입명(立命)의 책인 것이다. 이로써 몸을 닦고 이로써 사업을 일으키고 이로써 부귀(富貴)와 빈천(貧賤)에 대처할 수 있다. 복서(卜筮)의 책이면서 동시에 윤리도덕을 밝힌 우주의 진리서(眞理書)이다.
1
최근 본 책